지난 주중 아침에 달리기를 했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목표는 하프 마라톤에 출전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1차적인 목표는 5Km를 쉬지 않고 30분만에 달리고, 10km를 1시간에 달리는 것입니다. 그런데 아침에 달리는데 30분만에 5km를 달렸습니다. 이런 페이스로 익숙해지면 점점 10km도 그대로 달릴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생겼습니다. 달리면서 깨달은 것이 있어서 나누려고 합니다.
처음에 열정을 가지고 막달릴려고 하다가도 금방 지쳐버리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그래서 초반부터 달리지 않고 일정한 속도로 달리기 시작했습니다. 초반에 더 달리고 싶은 마음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페이스 조절을 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달렸습니다. 그러다보니까, 저보다 더 빨리 달려가는 사람들이 있고, 이들을 보고 있으니까 저도 같이 달려가고 싶은 마음이 들더라구요. 그런데 저의 페이스대로 달리면서 마지막 4km까지는 힘들어서 쉴까 말까하는 갈등들이 많았지만, 마지막 1km를 남겨둘때는 발이 자동적으로 가고 있었습니다. 이런 패턴은 10km때도 마찬가지 과정이 아닐까 싶습니다.
결국, 저의 1차 목표에 이를수 있었던 것은 열정과 페이스조절의 발란스를 잘 유지한 결과인 것같습니다. 초반에 열정이 과하면 중간에 포기하게 되고, 페이스 조절만 한다고 천천히 가면 열정은 식어지고… 이 두가지를 하나로 조화롭게 만드는 것은 사람마다 다르고, 자기가 찾아가야 하는 것같습니다.
직장이나 교회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열정안에 페이스 조절이 녹아들어가고, 페이스 조절안에 열정이 녹아져 있는 균형잡힌 모습이 우리에게 필요합니다. 그래야 하던 일을 지속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목장을 섬기는 것도, 팀을 섬기는 것도 동일합니다. 열정이 과할때는 여유가 필요하고, 느슨해지면 열정이 필요합니다. 이 완급조절이 실력이고, 영성입니다.
그러면, 이 두가지를 어떻게 조화롭게 만들어갈수 있을까요? 결국, 일상성에서 답을 찾을수 있습니다. 안하다가 갑자기 하면 한 두번의 열정뒤에 실패합니다. 그러나 계속해서 하다보면 나에게 맞는 것을 찾을수 있습니다. 그래서 영성은 일상입니다. 말씀도 매일 읽으면서, 예배도 매주 드리면서, 기도도 일정하게 드리면서 그 속에서 나에게 가장 맞는 열정이 만들어질 것입니다.
정목사